Linux/etc
slurm 스케줄러 sbatch 옵션 정리
slurm 스케줄러 sbatch 옵션 정리
2022.04.17slurm 스케줄러에서는 sbatch 옵션으로 이름, 작업시간 뿐만 아니라 자원 할당량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 비슷한 옵션이 많아서... 자주 사용하는 옵션만 메모용으로 남겨 둡니다.-J, --jobname=작업 이름작업 이름을 지정.-t, --time=시간작업이 수행될 시간을 지정.-o, --output=파일 이름 패턴표준 출력 파일 지정.-e, --error=파일 이름 패턴표준 에러 파일 지정.--priority=값작업의 우선순위 지정. (관리자만 사용 가능)-d, --dependency=dependency 목록작업에 종속성을 설정. after, Afterany, Afterok ... 등--mem=메모리 크기작업에 사용할 메모리를 지정.--mem-per-cpu, --mem-per-gpu 와 중복으로 ..
파일 atime, ctime, mtime
파일 atime, ctime, mtime
2022.03.13inode에 저장된 파일 속성 중에 ls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는 time에는 아래 3가지가 있다. (위 스크린샷 처럼 stat으로도 조회 가능) #1. atime (Time of last access)- 파일에 마지막으로 접근한 시간.- ls -lu 명령. #2. ctime (Time of last status change)- 파일이 마지막으로 변경된 시간.- ls -lc 명령. #3. mtime (Time of last modification)- 파일이 마지막으로 수정된 시간.- ls -l 명령.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파일이 삭제되는 스크립트가 돌아간다면, atime 등을 갱신해야 될 수 있다.Access Time을 갱신할 때는 보통 touch 명령을 쓰는데, touch에는 Recursive 옵션이..
conda 명령 정리
conda 명령 정리
2021.02.23새벽 2시인데 잠이 안 와서~ 정리해봅니다. 계속 추가/수정될 수 있습니다. #1. conda activate/deactivate [env_name] conda 환경 활성화/비활성화. #2. conda env list 설치되어 있는 conda 환경 조회해서 보여주는 명령. #3. conda create -n [env_name] conda 환경 생성 '--use-local' 옵션을 주면 현재 계정의 홈 디렉터리에 환경을 생성. 'python=version' 옵션을 주면 해당 버전으로 conda 환경을 생성. #4. conda env remove -n [env_name] conda 환경 제거 #5. conda install [pkg_name] 패키지 설치 '-c [channel_name] [pkg_name]..
자주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
자주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
2020.02.08이 글에서는 제가 자주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를 정리할 예정 1. lslsls -a ls -alls -al | grep "keyword" ls는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물을 보여주는(list) 명령어입니다. 옵션을 주면 좀 더 자세하게 내용물을 볼 수 있어요. '|'는(Shift+\) pipe라고 하는데 파이프는 앞에 있는 명령어의 결과를, 뒤에 있는 명령어로 넘겨줍니다. ls -al | grep abc라고 하면, ls -al로 보이는 출력 값에서 abc가 들어간 결과물만 보여줍니다. 옵션 정리 : -a : 숨겨진 디렉토리, 파일을 보여준다. (. , .. 포함, 대문자 A로 입력하면 ., .. 미포함) -l : 자세한 결과를 출력한다. -d : 디렉토리만 출력. 그냥 -d만 쓰면 최상위 디렉토리만 ..